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by miing_ 2023. 11. 21.

인플레이션

1.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 이는 곧 돈의 구매력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

 

2. 인플레이션의 원인

① 수요 증가

-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② 공급 감소

- 공급이 부족하면 제품의 가격이 높아지게 됩니다.

 

③ 중앙은행의 통화 공급 증가

- 통화 공급이 증가하면 시장에 돈이 많이 풀리기 때문에 수요가 많아지고 이로인해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3. 인플레이션이 경제에 주는 영향

ⓛ 가계소득의 감소

-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 구매력이 감소하면, 실질적인 임금이 감소하게되어 가계소득이 줄어듭니다.

 

② 경제 성장 둔화

-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금리가 상승되어 사람들의 소비와 투자는 감소하게되어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4. 대표적인 인플레이션의 예

ⓛ 짐바브웨

- 2000년대 후반, 짐바브웨는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 2008년에는 인플레이션률이 89.7 세즈바이리언 퍼센트로 기록되었는데, 이는 매월 가격이 두 배로 치솟았음을 의미합니다. 이로인해 짐바브웨의 화폐 가치는 급락하고, 경제는 붕괴되었습니다.

 

② 베네수엘라

- 2016년부터 베네수엘라는 고유가로 인한 경제 위기와 함께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베네수엘라의 화폐 가치는 사실상 소멸되어, 식량과 의약품 등 기본적인 생활 필수품조차 구하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5.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을 대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① 개인

-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물가 상승으로 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돈을 그대로 두는 것보다 투자를 통해 가치를 보전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금리가 상승하기 때문에 대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② 국가

- 국가 또는 중앙은행에서는 통화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조절합니다. 가격 상승을 제어하기 위해서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여 통화 공급을 줄여, 대출을 감소시켜 소비를 억제하고 가격상승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재정정책을 통해 정부의 지출을 줄이거나, 세금을 인상하여 수요를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는 관련된 내용을 작성한 글입니다.

 

중앙은행이란?

1. 중앙은행이란? : 각 국가의 통화 정책을 담당하는 중심적인 금융기관이다. 2. 중앙은행의 역할 ⓛ 통화 발행 - 중앙은행은 국가의 법정화폐를 발행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통화발행은 중앙은

mi-ing.tistory.com

 

 

디플레이션(Deflation)이란?

1. 디플레이션이란? -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2.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 ⓛ 생산물의 과잉공급 - 생산량이 늘어나면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가격이 하락하고,

mi-ing.tistory.com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커플링(decoupling)이란?  (0) 2023.11.22
디플레이션(Deflation)이란?  (0) 2023.11.21
기준금리란?  (2) 2023.11.21
중앙은행 (central bank) 이란?  (0) 2023.11.21
기축 통화란?  (0) 2023.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