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기축 통화란?

miing_ 2023. 11. 20. 19:57

기축통화

1. 기축통화란?

   : 여러 국가의 암묵적인 동의하에 국제거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통화를 말한다.

    - 20세기 초반까지는 세계 금융 경제의 중심이었던 영국의 파운드화가 기축통화로서 국제거래에 주로 이용되었으며,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전 세계 외환거래 및 외환보유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미국 달러화가 기축통화로 인정받고 있다. 

 

 

2. 기축 통화가 되기 위한 조건?

① 국제적으로 경제력은 물론 정치력,군사력까지 인정받는 국가의 통화여야한다.

 

② 압도적인  보유량

 

③ 금융업이 발달된 첨단 금융 시장이 존재

 

국가의 신용도와 물가가 안정되어야 한다. 

 

⑤ 세계적으로 원활히 유통될 수 있도록 풍부한 유동성을 갖추어야 한다.

3. 기축통화의 장점

정치적 · 사회적으로의 간접적인 이득

     - 모국어로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따로 외국어를 공부하지 않아도 전 세계에서 대화가 통하는 것처럼,
기축통화는 전세계에서 자유롭게 통용되는 화폐이다. 

 

② 상대국에 통화 스와프나 경제제재 등을 할 때도 기축 통화의 힘을 이용할 수 있다. 

     - 통화스와프란 두 나라가 서로 다른 통화를 미리 정한 환율에 따라 일정시기에 교환하는 것으로,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면 외환위기가 발생했을 때 자국 통화를 상대국에 맡기고 외화를 가져올 수 있다. 미국과 통화 스와프를 맺은 국가는 미국의 수혜국으로 취급한다. 자국 통화를 담보로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를 무이자로 빌릴 수 있다는 말과 같기 때문에 자국 통화의 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반면, 기축 통화를 통해 경제제재도 가능하다. 러시아는 2022년에 상당한 무역 흑자를 보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대러시아 경제제재의 여파로 미국 달러를 못 구하여 달러 표시 채권을 상환하지 못하여 디폴트 상태에 빠졌다. 이때 러시아는 루블로 달러 채권을 상환하겠다고 하였지만 채권자들이 거부하였다. 이는 기축 통화로 인정받는 미국 달러와 변동성이 큰 러시아 루블의 위상 차이를 볼 수 있다. 

4. 기축통화의 오해?

-보통 기축 통화가 갖는다고 생각하는 장점은 그것이 기축 통화라서가 아니라 기축 통화가 될 정도로 강하고 거대한 경제를 갖기 때문에 생기는 장점이다.

 

 ⓛ 기축통화가 되면 외환위기로부터 자유로워진다?

       => 외환위기로부터 자유로울 정도로 강하고 큰 경제를 갖고 있어야 기축통화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축 통화라서 외환위기로부터 자유로운 게 아니라, 외환위기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기축 통화가 되는 것이다.

 

 ②세뇨리지효과
 - 세뇨리지효과란, 기축통화국, 곧 국제 통화를 보유한 나라가 누리는 이익으로 기축 통화국의 지위를 이용해 화폐를 찍어내고 새로운 신용 창출을 통해 끝없이 대외적자를 메워나가는 것이다. 즉, 화폐를 발행하면 교환가치에서 발행비용을 뺀 만큼의 이익(화폐주조 이익)이 생기는데 그중에서  기축통화국, 곧 국제 통화를 보유한 국가가 누리는 이익을 세뇨리지 효과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