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공매도(short selling)란?

by miing_ 2023. 11. 22.

공매도

최근 금융당국에서 공매도를 금지 조치를 하였는데요.

공매도가 무엇인지, 왜 금지하고, 어떤 위험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공매도(short selling)란?

: 공매도란,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주식을 빌려 먼저 매도한 후, 주가가 하락하면 시장에서 주식을 매입하여 되갚은 후 차익을 얻는 투자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 A가 주식을 주당 20,000원에 팔고 며칠후 그 주식이 15,000원으로 하락한다면, 15,000원에 주식을 매입하여 빌린 A주식을 되갚으면 주당 5,000원의 수익을 얻게 됩니다.

 

2. 공매도의 장점

①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투자가 가능하다.

② 주가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얻을 수 있다.

 

3. 공매도의 단점

① 판매 가격과 매입 가격의 차이만큼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할 경우 손실이 무제한으로 커질 수 있다.

② 주식 대여량에 한계가 있어서 원하는 주식을 공매도할 수 없을 수도 있다.

③ 주식 대여에 대한 비용이 발생한다. 

 

4. 공매도로 인한 부작용

①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 공매도가 집중되면 해당 기업의 주가가 급락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자금을 조달하는 능력을 저하시키고, 기업의 신용도가 하락될 위험이 있습니다.

 

② 주가조작

- 일부 투자자들이 공매도를 악용하여 주가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이를 '공매도 조작'이라고 부르는데요.

이러한 행위는 시장의 신뢰성을 해치고, 일반 투자자들의 투자에 손실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③ 시장 왜곡

- 공매도가 과도하게 이루어지면, 주식의 실제 가치보다 낮은 가격으로 시장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시장의 효율성을 저해하게 됩니다. 

 

5. 공매도 제한이 시장에 주는 영향은?

① 시장 효율성 저하

- 공매도는 주식의 과대평가를 바로잡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제한할 경우 주식이 과도하게 높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② 주가 변동성 증가 

- 공매도가 제한될 경우, 주가 하락에 대한 균형 잡힌 시장 반응이 어려워져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불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Q. 그렇다면 주식이 하락하지 않게 공매도를 금지하면 좋은거 아닌가?

A :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이루어지는 투자 전략이지만, 공매도 자체가 주가 하락의 원인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주가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데, 공매도는 그 중 하나의 요소일 뿐입니다.

공매도를 금지하더라도 다른 요인으로 인해 주가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매도는 주식 시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공매도 없이는 주가가 과도하게 높아질 위험이 있지만, 공매도를 통하여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과대평가된 주식에 공매도를 실행하면 그 주식의 가격이 실제 가치와 가깝게 조정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공매도를 단순히 금지하는 것이 주가 하락을 막는 유일한 방법이 아니며, 오히려 시장의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공매도에 대한 적절한 이해균형 잡힌 규제가 필요합니다.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장지수펀드(ETF)란?  (2) 2023.11.24
빅맥지수란?  (0) 2023.11.24
디커플링(decoupling)이란?  (0) 2023.11.22
디플레이션(Deflation)이란?  (0) 2023.11.21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0) 2023.11.21